국민의힘은 어디 갔지? 민주당의 미니 재보선 드라마

 4·2 재보궐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은 기초단체장 5곳 중 3곳을 차지하며 눈에 띄는 성과를 거뒀다. 국민의힘은 1곳을 확보했으며, 나머지 1곳은 조국혁신당의 후보가 당선되었다. 단순히 숫자로만 봐도 민주당의 압승으로 평가할 수 있지만, 이번 선거 결과를 통해 드러난 민심의 변화와 향후 과제를 함께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번 재보선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지역은 경남 거제시장 선거다. 국민의힘의 텃밭으로 불리는 이곳에서 민주당 변광용 후보가 56.75%의 득표율로 국민의힘 박환기 후보(38.12%)를 큰 차이로 따돌리고 당선됐다. 변 당선인은 지난 2018년 거제시장 당선 이후 여러 차례 낙선했지만, 지역에서 꾸준히 활동하며 쌓은 신뢰가 이번 승리로 이어졌다. 특히 부울경 지역에서 민주당 소속 기초자치단체장이 거의 전무했던 상황에서 변광용 후보의 당선은 민주당에게 있어 중요한 발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는 향후 치러질 선거에서도 민주당이 부울경 지역에서 가능성을 확대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

 

부산시 교육감 재선거에서는 진보 성향의 김석준 후보가 당선됐다. 김 당선인은 보수 진영의 정승윤 후보와 최윤홍 후보가 단일화에 실패한 틈을 타, 차정인 전 부산대 총장과의 단일화를 성공시키며 표 분산을 극복했다. 투표율이 22.8%로 낮았던 점도 영향을 미쳤지만, 김 후보가 부산 16개 구·군에서 모두 승리한 점은 의미가 크다. 특히 보수의 아성인 동래구와 금정구에서도 보수 후보를 압도하며 지역 민심의 변화를 보여줬다.

 

광역의원 재보선에서는 국민의힘이 8곳 중 4곳을, 민주당이 3곳을 차지했다. 특히 경기 성남분당과 군포에서 민주당 후보가 승리하며 경기도의회에서 민주당의 영향력이 더욱 강화됐다. 기초의원 선거에서는 민주당이 6곳에서 승리하며 국민의힘(2곳)을 압도했다. 이는 바닥 민심의 변화가 점차 드러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서울 구로구청장 재선거에서는 민주당 장인홍 후보가 56.03%의 득표율로 당선됐다. 그러나 이번 선거는 국민의힘이 후보를 공천하지 않아 경쟁 구도가 약화된 상황이었다. 국민의힘 소속 문헌일 전 구청장의 사퇴로 치러진 선거였던 만큼, 국민의힘의 부재가 민주당의 승리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가능하다.

 

민주당 강세 지역으로 알려진 전남 담양군수 재선거에서는 조국혁신당 정철원 후보가 당선되며 이변이 발생했다. 민주당 이재종 후보는 48.17%를 얻었지만 정 당선인에게 3.65%P 차이로 패배했다. 이재명 대표가 직접 담양을 방문해 지원 유세를 펼쳤음에도 불구하고 패배했다는 점은 민주당 내부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번 재보선은 광역단체장 선거가 없는 미니 재보선 형태로 치러졌으며, 전반적으로 낮은 투표율을 기록했다. 이는 민심이 민주당으로 확실히 기울었다고 단정하기 어려운 이유 중 하나다. 특히 국민의힘 지도부가 적극적인 지원 유세를 펼치지 않았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민주당은 이번 재보선에서 승리했지만, 이를 기반으로 차후 조기 대선이나 주요 선거에서 승리를 확신하기에는 이르다. 담양군수 재선거에서의 패배와 국민의힘 후보가 출마하지 않은 구로구청장 선거 결과는 민주당이 앞으로도 민심을 면밀히 살피고, 내부 결속을 강화해야 함을 보여준다.

 

민주당이 이번 재보선에서 얻은 성과를 발판 삼아 향후 선거에서도 지속적인 승리를 거두기 위해서는 전략적 접근과 지역 민심의 변화에 대한 철저한 분석이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