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악의 설 선물..."해외 직구 한복, ‘독성 물질’로 범벅"

서울시가 설 명절을 앞두고 해외 직구 제품에 대한 안전성 검사를 진행한 결과, 어린이용 한복과 장신구 등 13개 제품 중 9개에서 유해물질이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24일, 어린이 한복 7종, 장신구 5종, 완구 1종을 대상으로 유해 화학물질 및 내구성 검사를 실시한 결과를 발표했다.

 

검사 결과 부적합 판정을 받은 제품은 총 9개로, 이들 모두 중국의 해외 직구 온라인 플랫폼 ‘알리 익스프레스’에서 판매된 제품이었다. 해당 제품들은 어린이 한복 5벌, 머리띠 2개, 댕기 장신구 1개, 뱀 모양 블록 완구 1개였다. 이들 제품은 유해 화학물질인 폼알데하이드와 pH 수치가 국내 안전 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확인됐다.

 

문제가 된 어린이 한복 5벌은 섬유 제품의 pH 수치가 기준치를 초과했다. pH가 기준을 넘으면 피부 자극, 알레르기성 피부염 등을 유발할 수 있다. 남아 한복 1벌은 조끼 안감과 저고리 원단에서 pH 수치가 8.6으로, 여아 한복 2벌은 치마 안감과 겉감 자수, 저고리 등 부위에서 pH 수치가 8.7~10.3으로 나타났다. 또 다른 여아 한복 1벌도 치마 안감에서 pH 7.7로 기준을 초과했다. 유아용 한복 스타일의 의류에서도 조끼와 모자 원단의 pH 수치가 각각 9.6, 7.8로 기준을 초과했다.

 

 

 

어린이용 장신구 3개 제품도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2개의 머리띠 제품은 각각 납과 아릴아민 수치가 기준을 초과했다. 머리띠의 큐빅에서 납이 기준치를 8.1배 초과하여 검출됐고, 아릴아민은 장기간 접촉 시 피부염이나 암을 유발할 수 있는 물질로, 하나의 머리띠에서는 이 물질이 1.8배 초과 검출됐다. 또 어린이용 댕기 장식품의 끝부분이 날카로워 안전성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뱀 모양 블록 완구 1개는 기계적·물리적 시험에서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날카로운 끝부분이 있어 어린이에게 상해를 입힐 위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지난해 4월부터 해외 직구 제품에 대한 안전성 검사 결과를 발표한 이후, 총 23차례의 검사에서 1621개 제품을 대상으로 검사를 진행했으며, 그 결과 172개 제품이 국내 기준을 충족하지 못했다. 주요 부적합 사유는 납·카드뮴 등 중금속, 프탈레이트계 화학물질, 폼알데하이드, 세균 수, 물리적 결함 등이 포함됐다.

 

서울시는 올해도 해외 직구 제품에 대한 안전성 검사를 지속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며, 매월 검사 결과를 발표하고 유해 제품에 대해 판매 중지 요청을 할 계획이다. 안전성 검사 결과는 서울시와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송호재 서울시 민생노동국장은 "체계적인 안전성 조사와 강화된 재유통점검을 통해 건강한 유통 질서 확립과 소비자 보호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인기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