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년 베테랑' 김소영, '플레잉 코치'로 리턴매치 시작

 한국 여자배드민턴의 간판 스타 김소영(33·인천국제공항)이 여전히 코트 위와 밖에서 후배 양성에 힘을 쏟으며 조용하지만 강한 존재감을 이어가고 있다. 2011년 국가대표로 처음 발탁된 이래 14년 동안 대표팀과 함께한 김소영은, 비록 주전 자리에서 물러났지만 자신만의 방식으로 한국 배드민턴에 기여하고 있다.

 

김소영은 올해 국가대표 선발전을 통과하지 않고도 자동 선발됐다. 여자복식에서 오랜 파트너인 공희용(29·전북은행)과 세계랭킹 10위 안에 들며 12위까지 주어지는 자동선발권을 확보한 덕분이다. 김소영-공희용 조는 세계랭킹 1위에 올랐고, 2020 도쿄올림픽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는 등 대표적인 복식조로 활약해왔다. 특히 두 선수의 호흡은 수년간 한국 여자복식의 중추 역할을 해왔기에, 이들의 향후 행보에 기대가 모였던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2024 파리올림픽 이후 대표팀의 세대교체 흐름에 따라 김소영의 출전 기회는 줄어들었다. 복식 조합 역시 젊은 선수 위주로 재편되면서 현재 대표팀의 주력 조는 백하나(25)-이소희(31), 김혜정(28)-공희용으로 구성돼 있다. 이에 따라 김소영은 국제대회 출전보다는 국내에서 후배들과의 호흡에 집중하고 있다. 특히 김보령(23·김천시청) 등 어린 선수들과 짝을 이루며 현장 경험을 공유하는 한편, 소속팀 인천국제공항에서는 올해부터 플레잉 코치로서의 역할도 병행하고 있다.

 

21일 서울 송파구 올림픽파크텔에서 열린 김동문 대한배드민턴협회장의 취임식장에서 만난 김소영은 “현재 고정 파트너는 없지만, 어린 선수들과 함께 코트에 서며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선수답게 코칭스태프의 지시에 따라 내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나이 앞에 장사 없다는 말을 실감하지만, 후배들에게도 기회는 주어져야 한다”며 담담한 심경을 드러냈다. 특히 예전 파트너였던 공희용이 김혜정과 좋은 호흡을 이어가는 모습을 보며 흐뭇한 마음도 전했다.

 

김소영에게는 파리올림픽이 마지막 무대가 될 가능성이 높았지만, 아쉽게 메달을 획득하지 못했다. 당시 공희용과 함께 강력한 우승 후보로 꼽혔으나, 여자복식 8강전에서 말레이시아의 펄리 탄-티나 무랄리타란 조에게 패배하며 고배를 마셨다. 이에 대해 김소영은 “올림픽은 다른 대회들과 다르게 변수가 많고, 상대팀의 집중력도 유독 높다”며 “공격적인 플레이가 중요한데, 당시엔 맞바람 등 외부 변수에 수비적으로 임하다 자멸했다”고 회상했다. 하지만 그는 “조별리그에서 일본의 시다 치하루-마쓰야마 나미(세계 2위)를 꺾으며 공격 전술에 대한 확신을 가졌고, 최선을 다했기 때문에 후회는 없다”며 미련을 남기지 않았다.

 

 

 

현재 김소영은 선수로서의 마지막 무대를 준비하는 시점에 와 있다. 그러나 은퇴를 선언하거나 뒤를 돌아보는 대신, 지금 이 순간에 집중하겠다는 각오다. 그는 “몸이 움직이는 한 끝까지 코트 위에서 ‘올림픽 메달리스트’로서 역할을 다할 것”이라며 “코트 밖에서도 후배들에게 좋은 지도자, 선배가 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소영은 선수로서도 지도자로서도 인정받는 인물이다. 도쿄올림픽 동메달,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 여자 단체전 금메달, 2022 방콕 우버컵 금메달 등 수많은 국제무대에서 영광의 순간을 함께했고, 그런 기억들을 가슴에 안고 오늘도 후배 선수들의 성장을 돕고 있다. 그녀의 남편인 장성호 역시 지난해 현역에서 은퇴하며 “최선을 다한 네 모습이 자랑스럽다”는 응원을 건넸고, 김소영에게는 그 말이 큰 힘이 됐다. 그는 “가끔 벤치에서 전술을 지시하면서도 시간이 참 많이 흘렀음을 느낀다. 그러나 지금은 여전히 코트 안에서는 선수로서, 밖에서는 지도자로서 경쟁력을 발휘하는 것만 생각하고 있다”며 자신의 역할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김소영은 이제 스포트라이트보다 조력자의 위치에 가까워졌지만, 여전히 한국 배드민턴의 중요한 축이다. 화려했던 전성기만큼이나, 그녀의 조용한 헌신과 열정은 한국 배드민턴의 미래를 더욱 단단하게 만들고 있다.